김대중
동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Email : daejoong89@dau.ac.kr
전화 : 051-200-8653
주소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 2가) 사회과학대학 1203호 (602-760)
- 1996 -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 1997~2002 - 새한정보시스템/삼성SDS 근무
- 2005 - 뉴저지 주립 럭거스 대학원 졸업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 2011 - 뉴욕주립대학교(버팔로) 대학원 졸업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 2012 - 뉴욕주립대학교 소재 Communication Science Center (박사 후 연구원)
- 2012~2013 -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강의
- 2014~2020 - 동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 2020~현재 - 동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
주 연구분야
-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얼굴표정과 감정 분석
- CMC 환경에서 얼굴표정과 감정 분석
- 비언어행위 분석을 통한 거짓말 탐지
- 생리적 반응 측정
- 분노, 복수, 감정조절
그 외 관심분야
- 인터넷 및 소셜미디어에 의한 비정부조직 홍보
- 신기술 채택 요인 연구
강의과목
-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인터넷서비스/스피치커뮤니케이션
- 휴먼커뮤니케이션/비언어커뮤니케이션/감정커뮤니케이션
- 연구방법론 및 통계 분석
논문
- 김대중·박지혜 (2024). 고이해득실상황에서 나타나는 거짓말의 단서로서 얼굴 표정 분석: 정서적 얼굴 표정과 미소의 표정을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8권 3호, 36-66.
- 김대중 (2024). 국제 메가이벤트로서 2030세계박람회 유치 관련 일간지의 뉴스 특징 분석: 전국지와 부산 지역지 간 비교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8권 11호, 5-37.
- 김대중 (2023).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코로나19 백신접종 의도 결정 요인 탐색. Crisisonomy, 19권 11호, 13-26.
- 박지혜·김대중 (2023). 공적 공간에서 인식되는 정서표현규칙: 커뮤니케이션 대상에 따른 부정정서 표현을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7권 2호, 39-94.
- 정학구·김대중 (2022). 언론수용자의 정치성향과 언론에 대한 평가가 가짜뉴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언론전문성과 언론신뢰도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6권 4호, 39-67.
- 김대중 (2022). 장기화되는 팬데믹 상황에서 코로나19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 HBM, RISP, 낙관적 편견, 개별정서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6권 2호, 5-35.
- 김대중·박지혜 (2022). 거짓 진술 상황에서 진술의 의심여부와 원격화상 채널 차이에 따른 준언어행위 변화: HMD와 VCMC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6권 1호, 5-37
- 김대중 (2021). 거짓말 탐지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청촌논총>, 22, 89-122
- 김대중·박지혜 (2021). 면대면 신문과 비대면 신문간의 거짓말 단서로서 준언어행위 비교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29권 1호, 29-53
- 김대중·박지혜 (2020). 정의민감성, 연민성, 부정정서가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 정치인 갑질에 대한 공중의 보복을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 59권, 5-51
- 박지혜·김재홍·김대중 (2019). 2016년 미국 대선 TV토론에서 나타난 후보자의 메시지와 얼굴표정의 특징 분석.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3권 4호, 33-68
- 김대중·정학구 (2019). 일간지의 가짜뉴스 보도 경향과 프레임 분석: 부산일보, 조선일보, 한국일보, 한겨레를 중심으로. <소통학보>, 18권 2호, 223-260
- 김대중·박지혜 (2019). 거짓말의 단서로서 준언어행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권 4호, 187-196
- Svetieva, E., Zadro, L., & Kim, D., Hurley, C., & Goodacre, R. (2019). Facing exclusion and smiling through the pain: positive emotion expression during interpersonal ostracism. PsychologyResearchandBehaviorManagement, 12, 229-239
- 김대중·박지혜·이희은·김주찬 (2018).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따른 시선행위 고찰: 면대면 심문과 영상 심문 환경에서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2권 4호, 4-34
- 김대중 (2017). 다문화 공존을 위한 한국의 방송정책: 다문화가족 프로그램의 내용과 제작지원 현황을 중심으로. <札幌学院大学総合研究所 BOOKLET>, 9, 85-113
- 김대경·하승태·김대중 (2017). 지역신문의 지원정책과 지원방향 모색: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을 중심으로. <언론학연구>, 21권 1호, 5-38
- 김대중 (2016).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 거짓말 단서로의 시선회피: 대화단계별 시선회피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언론학보>, 60권 3호, 7-35
- 김대중 (2016).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 정서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노와 슬픔의 정서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3권 1호, 47-88
- Kim, D., Chun, H.S., Kwak, Y.S, & Nam, Y. (2014). The employment of dialogic principles on the websites, Facebook, and Twitter of environmental nonprofit organizations.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32(5), 590-605
- Kim, D., Kim, J., & Nam, Y. (2014). How does industry use social networking sites? An analysis of corporate dialogic uses of Facebook, Twitter, YouTube, and LinkedIn by industry type. Quality & Quantity, 48(5), 2605-2614.
- Kim, D., Chun, H. S., & Lee, H. J. (2014). Deter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s' adoption of smartphon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3), 578-588.
- Nam, Y. Barnett, G. & Kim, D. (2014). Corporate hyperlink network relationships in glob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ystem. Quality & Quantity. 48(3), 1225-1242.
- Kim, D., Frank, M., & Kim, S. (2014). Emotional display behavior in different forms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0(1), 222-229.
- Kim, D., & Kim, J. (2013). Understanding persuasive elements in phishing emails: A categorical content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nline Information Review, 37(6), 835-850.
- 김대중·정봉훈·장정헌 (2013). <인지 및 감정 요인이 원자력발전의 개인적. 사회적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에 관한 비교연구>, 언론학보, 57권 5호. 214-238.
- Chun, H. S., Lee, H. J., & Kim, D. (2012). The Integrated Model of Smartphone Adoption: Hedonic and Utilitarian Value Perceptions of Smartphon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5(9), 473-479.
- Kim, D., & Nam, Y. (2012). Corporate relations with environmental organizations represented by hyperlinks on the Fortune global 500 companies' websit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105(4), 475-487.
- Lee, H. J., Kim, D., Ryu, J. H., & Lee, S. J. (2011). Acceptance and rejection of mobile TV among young adults: A cas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elematics and Informatics,28(4),239-250.
- Kim, D., Chun, H., & Kim, H. (2010). The potential of online press room for crisis response.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커뮤니케이션과학). 27권 2호. 35-57.
- Kim, D., Nam, Y., & Kang, S. (2010). An analysis of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on the global corporate Web sites and their dialogic principles, Public Relations Review, 36(3), 285-288.
- Lee, H. J., Ryu, J. H. & Kim, D. (2010). Profiling mobile TV adopters in college student populations of Korea.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77(3), 514-523.
Book Chapter
- 김대중·심재웅 (2015). 대인커뮤니케이션. 이준웅·박종민·백혜진 (편), <커뮤니케이션 과학의 지평> (55-100쪽). 파주: 나남.
- Chun, H., & Kim, D. (2010). Web 2.0 Applications and Citizen Relations through E-Government Websites. In E. Downey & C. D. Ekstrom (eds.), E-Government Website Development: Future Trends and Strategic Models (pp. 266-283). New York, NY: IGI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