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역서
학교따돌림의 지도와 상담. 서울: 동문사.(2006문화관광부우수학술도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매뉴얼. 부산광역시교육청 연구과제 부산교육 2009-147.
교직실무. 서울: 동문사.
만남 그리고 성장을 위한 인간관계 심리학. 파주: 학지사.
다문화 상담의 새로운 접근. 서울: 시그마프레스.
학교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문사.
상담과 복지서비스를 위한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문사.
학습상담. 서울: 학지사.
학교현장에 맞춘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 파주: 학지사.
NLP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문사.
(개정판) 교직실무. 서울: 동문사.
- 논문
김종운 외 1인(2014). 전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2).
김종운 외 1인(2014). 대학생의 감사성향이 구직효능감 및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직업교육연구, 33(6).
김종운 외 1인(2014). 대학생의 감사성향이 구직효능감 및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7(4).
김종운 외 1인(2014).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텐츠학회 논문지, 14(11).
김종운 외 1인(2014).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한국컨텐츠학회 논문지, 14(10).
김종운 외 1인(2014). 일반청소년과 교정시설청소년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김종운 외 1인(2014).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2(1).
김종운 외 1인(2014).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의 구조적 관계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2(1).
김종운 외 1인(2014).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39(1).
김종운 외 1인(2014).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정서지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33(2).
김종운 외 1인(2014).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텐츠학회, 14(2).
김종운 외 1인(2014).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2).
김종운 외 1인(2013).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우울이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24(2).
김종운 외 1인(2013).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6(3).
김종운 외 1인(2013).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텐츠학회, 13(9).
김종운 외 1인(2013). 또래칭찬 및 자기리더십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20(7).
김종운 외 1인(2013). 중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지각된 부모의 성취압력,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실패내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4(2).
김종운 외 1인(2013).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2).
김종운 외 2인(2012).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4(4).
김종운 외 1인(2012). 게임 활용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대안학교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19(7).
김종운 외 1인(2012).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매개 효과. 직업교육연구, 31(2).
김종운 외 1인(2012).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방과후아카데미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김종운 외 1인(2012).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와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1).
김종운 외 1인(2012). 학습기술훈련 프로그램이 학습 부진아의 학습습관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학생생활연구, 40(1).
김종운 외 1인(2012). REBT 집단상담과 RT 집단상담이 비만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19(4).
김종운 외 1인(2012). e-커리어 포트폴리오 활용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4(1).
김종운 외 1인(2011). 대학생의 정서지능,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4(4).
김종운 외 1인(2011). 비전수립 코칭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24(4).
김종운 외 1인(2011).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습관여와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의 관계. 상담학연구, 15(2).
김종운 외 1인(2011). 가족기능 및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0(3).
김종운(2011). 구조화가 낮은 지역(low structure areas)에 대한 카드시스템(Card-System) 활용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동북아문화연구, 28집.
김종운 외 2인(2011).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위축아동의 위축행동과 자아존중감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 교육학 연구, 1(1).
김종운 외 1인(2011).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동북아문화연구, 27집.
김종운 외 1인(2010). 진로장벽탐색 집단상담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직업교육연구, 29(3).
김종운 외 1인(2010).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2(1).
김종운 외 1인(2010). 회복적 보호지원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문제행동과 부모와 자녀의사소통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학생생활연구, 제38집.
김종운 외 3인(2009). 여대생의 성격유형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2(4).
김종운 외 1인(2009).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독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2(3).
김종운 외 2인(2009). 음악치료 활동이 주의집중장애아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12(2).
김종운 외 1인(2009). 관계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12(1).
김종운 외1(2009).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피해정도와의 관계: 사회적 고립을 매개로. 상담학연구, 10(3).
김종운 외1(2009). 커리어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기 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김종운 외1(2009).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학구적 실패 내성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0(1).
Kim, J. U.(2008). The Effect of a R/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Internet Addiction Level and Self-Esteem of Internet Addiction University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ality Therapy, 27(2).
김종운 외1(2008). 개별접근 집단상담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의 효과 비교-가정폭력 노출아동의 적응 향상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9(4).
김종운 외1(2008). 아동의 자아개념 및 학습동기와 진로성숙과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1(2).
김종운(2008).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56(3).
김종운(2007). 음주예방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음주거절 효능감과 음주결과 기대 및 음주행 위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8(1).
김종운(2007). 양성평등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일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성역할 고정관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20(3).
김종운(2007).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상담원리. 교육사상연구, 21(2).
김종운(2006). 농촌과 도시의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과 직업관 비교. 진로교육연구, 19(1).
Kim, J. U.(2007).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as An Internet Addiction Recovery Method for College Student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Reality Therapy, 27(1).
Kim, J. U.(2006). The Effect of A Bullying Prevention Program on Responsibility and Victimization of Bullied Childre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Reality Therapy, 26(1).
김종운 외1(2005).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교대 대학생의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동아논총 38집.
김종운 외1(2005). 또래상담훈련이 성별에 따른 아동의 학교관련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부산지회 부산교육학연구, 18(1),
김종운 외1(2005). 따돌림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동아논총 42집.
김종운(2005). A Study on th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capegoats in Group Counseling. 부산교육학연구, 16(1).
김종운 외2(2005). 행동적 NLP 집단상담과 인지적 NLP 집단상담이 ADHD 아동의 행동변화와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비교. 상담학연구, 6(2).
김종운 외1(2005). Effects of A Bullying Prevention Program for Group Counseling on Self-Esteem, Self-Assertiveness and Victimization of Bullied Children. 상담학연구, 6(4).
김종운(2004). REBT를 적용한 귀인 재훈련 집단상담이 아동의 무기력과 귀인에 미치는 효 과. 상담학연구, 5(3).
김종운(2004).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생 건전 음주습관 형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17(1).
김종운(2003).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언어분석을 위한 메타모델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16(1).
김종운(2003). NLP 메타모형 집단상담이 비합리적 신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상 담학연구, 4(1).
김종운(2003). 분산적·집중적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따돌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 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비교. 상담학연구, 4(3).
김종운 외1(2003). 자율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행동변화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논총, 40.
김종운 (2002). ADHD 아동용 척도 개발. 부산교육학연구, 15(1).
김종운 외1(2001). 합리적 정서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시험불안과 귀인성향에 미치는 효과. 동아논총, 38.
김종운 외1(2001). 또래상담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관련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 학연구, 14(1).
|